본문 바로가기
정치

리박스쿨, 늘봄학교와 초등 역사교육 논란의 전말 2025

by 휠로그웰 2025. 6. 5.
2025년, 윤석열 정부의 대표 교육정책인 ‘늘봄학교’가 극우 성향 민간단체 리박스쿨의 역사관 침투 논란으로 뜨거운 감자가 되고 있습니다. 방과후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역사교육 프로그램에 친일·독재 옹호 시각이 스며들었다는 의혹이 제기되며, 학부모와 교육계, 정치권 모두가 충격에 빠졌습니다.

📋 리박스쿨, 늘봄학교 논란의 배경과 이슈

리박스쿨은 2023년 윤석열 정부의 ‘늘봄학교’ 정책 발표와 함께 초등학교 방과후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에게 접근했습니다. 이 단체는 뉴라이트 계열의 역사관을 바탕으로, 이승만·박정희 전 대통령과 재벌 창업주를 찬양하는 교육 콘텐츠를 제공하며 논란의 중심에 섰습니다. 특히, 학교 정규 교육과정이 아닌 방과후 수업과 민간자격증을 활용해 공교육의 빈틈을 파고들었다는 점이 사회적 파장을 키웠습니다.



🧑‍💼 손효숙 리박스쿨 대표 프로필 및 네트워크

항목 내용
이름 손효숙
소속 리박스쿨 대표, 다수 극우단체 공동대표
주요 경력 역사연구원 세미나 토론자, 우남네트워크·국가교육개혁국민협의회 등 공동대표, 김문수 전 후보와 협력
주요 네트워크 대한민국교원조합(대한교조), 자유민주연구원, 우남네트워크, 국민의힘 일부 인사 등
출처: 연합뉴스

📰 현재 이슈화되고 있는 내용

주요 내용

2022년 역사연구원 세미나에서 손효숙 대표는 우파 커뮤니티 활성화, 젊은 교사 양성, 1인 미디어 교육, 방과후 한국사 수업 등 다양한 전략을 제시했습니다. 2023년 윤석열 정부의 ‘늘봄학교’ 정책이 발표되자, 리박스쿨은 ‘늘봄학교 필승을 위한 모임’을 결성해 교육부에 제안서를 제출하고, 시범사업 예산 확보에 나섰습니다. 그 결과, 서울 등 일부 초등학교에 리박스쿨 관련 강사와 프로그램이 실제로 공급되었습니다.

주요 뉴스

  • 리박스쿨, 늘봄학교 방과후 프로그램 통해 초등생에게 역사관 주입 시도
  • 서울·강원 등 전국 각지에서 리박스쿨 강사 투입 확인, 학부모 불안 확산
  • 서울시교육청·교육부, 리박스쿨 프로그램 전수조사 및 중단 방침 발표
  • 정치권, 김문수 전 후보 등과의 연계 의혹 및 조직적 여론조작 논란

“학교 정규 교육과정이 아니더라도 방과후 수업 등을 통해 뉴라이트 역사관을 가르칠 수 있다.”
“이승만·박정희, 재벌 창업주를 찬양하는 ‘대한민국송’ 등 학생 대상 교육 사례를 전했다.”
— 2022년 역사연구원 세미나 발언 중
사례 1. 늘봄학교 프로그램 공급
리박스쿨은 ‘한국늘봄교육연합회’ 명의로 서울교대와 협약, 서울 10개 초등학교에 프로그램 공급. 강사 민간자격증 발급 및 실제 채용 사례 확인.
사례 2. 정치권과의 네트워크
김문수 전 국민의힘 후보, 자유민주연구원, 우남네트워크 등과 협력관계. 대선 관련 여론조작 의혹과도 연결.
사례 3. 학부모와 교원단체 반발
“아이들을 더는 늘봄 수업에 맡길 수 없다”는 학부모 의견 속출. 전교조 등 교원단체는 전수조사와 법적·제도적 장치 마련 촉구.
출처: 한겨레

🔎 놓치기 쉬운 내용 체크리스트

  1. 늘봄학교는 방과후·돌봄 통합 정책으로 도입, 강사 인력난에 민간단체가 쉽게 침투
  2. 리박스쿨은 ‘댓글조작팀’ 운영 등 여론조작 논란, 정치적 목적의 교육 활동 의혹
  3. 자유민주연구원, 우남네트워크 등 보수단체와의 네트워크로 영향력 확대
  4. 교육부·시도교육청, 리박스쿨 관련 프로그램 전수조사 및 중단 조치 진행
  5. 민간자격증 발급, 커뮤니티·방송 활용 등 다양한 우회적 침투 전략 구사

🏅 손효숙 및 리박스쿨 주요 서사와 활동

  • 극우 성향 역사관(뉴라이트) 전파를 목표로 다양한 시민단체, 정치권과 협력
  • 방과후·돌봄 등 공교육 외부 영역을 통한 영향력 확대 시도
  • ‘이승만·박정희 전문가’ 양성, 우파 커뮤니티·1인 미디어 활용 등 전략적 접근
  • 대선 전후 정치권과 교류, 여론조작 및 댓글부대 운영 논란
  • 교육부·서울시교육청 등 공적 기관의 조사 및 제재 대상

💡 늘봄학교 정책과 공교육 민간위탁의 허점

  • 늘봄학교는 초등학생 방과후·돌봄을 국가가 책임지는 정책으로, 민간 위탁 구조가 허술해 외부 단체 침투 위험이 큼
  • 강사 인력난과 예산 문제로 검증되지 않은 민간단체 프로그램이 채택될 수 있음
  • 정치적·이념적 목적을 띤 단체가 교육 현장에 개입할 경우, 교육의 중립성·공공성 훼손 우려
  • 학부모와 교원, 교육청의 감시와 견제가 필수적임

FAQ: 리박스쿨, 늘봄학교, 역사교육 논란

  • Q. 리박스쿨은 어떤 단체인가요?
    A. 뉴라이트 계열 극우 역사관을 전파하는 민간단체로, 방과후·돌봄 프로그램, 온라인 커뮤니티, 정치권과의 네트워크를 통해 영향력을 확대해왔습니다.
  • Q. 늘봄학교란?
    A. 윤석열 정부가 도입한 초등학생 방과후·돌봄 통합 정책으로, 민간단체가 프로그램을 공급할 수 있는 구조적 허점이 드러났습니다.
  • Q. 왜 논란이 커졌나요?
    A. 친일·독재 옹호 등 편향된 역사관 주입, 댓글조작 등 정치적 목적의 교육 활동, 검증되지 않은 민간단체의 공교육 침투 등이 문제로 지적됐기 때문입니다.
  • Q. 교육부와 교육청의 대응은?
    A. 관련 프로그램 전수조사, 중단 조치, 대체 프로그램 마련 등 강력 대응을 예고했습니다.

📝 마무리 및 결론

리박스쿨의 늘봄학교 침투 논란은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과 공공성, 그리고 방과후·돌봄 정책의 구조적 허점을 다시 한 번 환기시켰습니다. 아이들의 역사교육이 특정 이념에 좌우되지 않도록, 공교육 본연의 역할과 검증 시스템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교훈을 남깁니다. 2025년 현재, 사회 각계의 감시와 견제가 강화되는 가운데, 대한민국 교육의 미래가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을지 주목해야 할 시점입니다.

 

 

이재명 대통령 비상경제점검TF 소통과 정책 방향 2025

2025년 6월, 이재명 대통령이 취임 후 첫 행정명령으로 ‘비상경제점검 TF’ 회의를 직접 주재하며 경제부처 실무자들과의 소통을 강화하고, 민생 회복을 위한 정책 논의에 돌입했습니다. “작은

informationwell.bastet81.com

 

 

이재명 대통령 용산 집무실 논란과 청와대 복귀 이슈 “컴퓨터도 필기구도 없다, 꼭 무덤 같다”

2025년 6월, 이재명 대통령의 용산 대통령실 첫 집무와 “컴퓨터도 필기구도 없다, 꼭 무덤 같다”는 발언이 대한민국 정치권에 큰 파장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권력 교체의 현장, 그리고 청와대

informationwell.bastet81.com

 

 

이재명 정부 첫 인사 발표: 김민석 총리 후보자·강훈식 비서실장 등 핵심 라인업과 국정 청사진

2025년 6월 4일, 이재명 대통령이 직접 발표한 새 정부 첫 인사에 정치권과 국민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습니다.국무총리 후보자에 김민석, 대통령비서실장에 강훈식 등 민주당 내 핵심 전략통을 전

informationwell.bastet81.com

 

반응형